rgbi3307의 블로그

rgbi3307의 이미지

재미있는 인공지능(AI) 이야기(#6)


안녕하세요?
오늘은 AI 기본개념에 대해서 신경과학(Neuroscience) 적으로 요약합니다.

신경과학(Neuroscience)

* 두뇌는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가?

신경과학은 신경 시스템, 특히 두뇌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두뇌가 생각하는 방식은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힘든 아주 신비한 것이다.
머리가 정신적인 것들에 깊숙히 관여한다는 확신 때문에,
두뇌가 생각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천년동안 노력해 왔지만,
인간의 두뇌는 뭔가 다르다라는 정도로 인식하고 있을뿐이다.
아리스토렐레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모든 동물들 중에서, 인간은 육체에 비해서 더 큰 두뇌를 가지고 있다".
18세기 중엽 이전까지는 두뇌가 자각적으로 폭넓게 인식한다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 전에는 단지 심장과 비장(지라)을 포함 시키는 정도였다.

rgbi3307의 이미지

재미있는 인공지능(AI) 이야기(#5)

지금까지 인공지능(AI)에 대한 개념과 함께
AI에 대한 기본지식을 철학(Philosophy), 수학(Mathematics)적으로 얘기했고,
앞으로 경제학(Economics), 신경과학(Neuroscience), 심리학(Psychology),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
제어이론과 인공두뇌학(Control theory and cybernetics), 언어학(Linguistics)적으로 요약합니다.
오늘은 경제학(Economics) 입니다.

경제학(Economics)

* 급여(보상)를 최대화 하기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가?
* 다른 사람들이 계속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급여가 앞으로 점점 불확실해 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rgbi3307의 이미지

재미있는 인공지능(AI) 이야기(#4)

앞의 연재(#3)에서는 AI의 기본원리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접근했으나,
이번 연재(#4)에서는 수학적으로 접근합니다.

수학(Mathematics)

* 타당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정형화된 규칙은 무엇인가?(논리)
* 무엇이 계산될 수 있는가?(계산)
* 불확실한 정보에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확률)

철학자들은 AI에 대해서 몇가지 근본적인 생각들을 도출해 냈으나,
이것에 정형화된 수학 공식들을 도입하여 좀더 과학적으로 접근해 보자.
AI에 근본적으로 적용되는 수학 영역은 논리, 계산, 확률이다.

논리에 대한 기본 원리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로 부터 시작되었으나, 이것을 수학적으로 발전시킨 사람은
George Boole(1815-1864) 이었다. 그는 1847년에 명제, Boolean, 논리등에 대해서 자세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rgbi3307의 이미지

재미있는 인공지능(AI) 이야기(#1,2,3)

KLDP Blog에서 연재합니다.
블로그에 쓰기권한을 부여해주신 권순선님께 감사드립니다.

페이지

RSS - rgbi3307의 블로그 구독하기